안녕하세요. 기원테크입니다.
최근 메일을 이용한 사이버 공격이 급증하고 있는데요. 사례를 살펴보며 공격 유형과 피해 예방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더 나아가 메일보안솔루션 ReceiveGUARD에서는 해당 공격에 대해 어떻게 방어할 수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원 전 : "KISA·이스트시큐리티 ESRC 등 보안기관·기업 사칭 피싱 이메일 연이어 유포"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04668
<기사 내용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메일입니다.>
최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보안기관을 사칭한 피싱메일이 유포되고 있습니다.
사용자의 메일에서 스팸메일이 발송되어 비밀번호 변경이 필요하다라는 안내 메일 형태입니다.
위와 같은 사칭메일이 특히 위험한 이유는 사용자가 신뢰할 수 있는 단체를 사칭하여 공격 성공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위와 같은 사칭메일의 유형을 잘 알아 두고, 만약 실제로 받아보게 되었다면 메일 열람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사칭 메일 분석>
사용자는 신뢰할 수 있는 단체(KISA, 보안기관)로부터 온 메일로 오인하여 해당 메일의 안내에 따라 '비밀번호 변경' URL 클릭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해커에게 해당 정보가 전송되어 계정 도용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피해 예방 방법>
1. 출처가 불분명한 사이트 주소는 클릭 자제
2. 이메일을 통해 연결된 사이트의 경우, 일단 의심하고 연결된 사이트 주소와 정상 사이트와의 일치 여부 확인
3. 운영체제 및 자주 사용하는 문서 프로그램(아래한글 등) 등에 대해 최신 업데이트 수행
4. 바이러스 백신 업데이트 및 수시 검사 등의 보안수칙 준수
5. 이메일 수신시 SPF(Sender Policy Framework)가 KISA 메일서버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
6. 피싱메일을 수신하거나 메일 열람 후 악성코드 감염 등 피해가 발생했다면 한국인터넷진흥원 종합상황실로 즉시 신고
7. 한국인터넷진흥원 '내PC돌보미' 서비스를 신청하여 PC 점검
기원 후 : 'ReceiveGUARD' SPF검사로 사칭피싱메일을 차단하세요.
* SPF(Sender Policy Framework)란?
발신자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 검증 방식으로,
이메일 발신자가(@kiwontech.com) 사전에 등록해놓은 자신의 정보와 발신메일의 발신자 정보를 비교하여 실제 이메일의 발신자가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ReceiveGUARD에서는 아래와 같이 발신메일에 대해 SPF 검사를 진행합니다.
SPF 레코드가 올바르지 않은 발신자의 메일은 사기메일의 위험이 있어 차단하게 됩니다.
하지만 단순히 SPF 레코드 등록하지 않은 정상 발신자의 경우, ReceiveGUARD에서는 정상 발신자로 학습하여 추후에는 차단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ReceiveGUARD 주요 기능>
<홈페이지>
[메일보안솔루션] EG-Platform(이지플랫폼) : https://secu-email.com/
[강력한 메일보안의 그룹웨어] SECU E Cloud(시큐이클라우드) : http://secuecloud.co.kr/
기원테크 소식을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받아보세요!